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조선왕 순서 외우기 태정태세문단세! + 소소한 에피소드

by 쿠리수피 2021. 9. 5.
반응형

 

 




태정태세문단세!
예..성......?

다음 입이 잘 떨어지지 않는 조선왕 이름이에요

 



하지만 조선왕은 상식으로 외워두면 좋겠죠?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현철고순


조선의 왕은 대한제국 2대 왕과 함께 총 27명이에요.

 




태조(이성계, 이단) (1392~1398)

1대 왕

58세 즉위
태조는 보통 나라를 세운 왕이라는 뜻으로 1대 왕에게 붙여져요
조선의 이성계 왕 뿐만 아니라 왕건으로 친숙한
고려 제 1대 왕도 태조 왕건이라고 명명된다고 합니다.


정종(이방과,이경) (1398~1400) 

2대 왕

42세 즉위



태종(이방원) (1401~1418) 

3대 왕

34세 즉위


세종(이도) (1418∼1450) 

4대 왕

22세 즉위

훈민정음 창제

Pixabay 로부터 입수된  lovelyheewon 님의 이미지 입니다.


문종(이향) (1450~1452) 

5대 왕

37세 즉위


단종(이홍위) (1452~1455) 

6대 왕

12세 즉위


세조(이유) (1455~1468) 

7대 왕

39세 즉위


예종(이황) (1468~1469) 

8대 왕

19세 즉위
왕이 오르고 13개월 만에 승하


성종(이혈) (1469~1494) 

9대 왕

13세 즉위


연산군(이융) (1495~1506) 

10대 왕

19세 즉위
조선에서 
최초로 폐위된 임금이기도 합니다.


중종(이역) (1506~1544) 

11대 왕

19세 즉위


인종(이호) (1544~1545) 

12대 왕

30세 즉위
30세의 나이로 즉위를 하였지만

1년이 채 되지 않은 약 8개월 이후 승하를 했습니다.


명종(이환) (1545~1567) 

13대 왕

12세 즉위


 

선조(이균, 이연) (1567~1608) 

14대 왕

16세 즉위
임진왜란과 여진족의 침입으로 어려웠던 시기입니다


광해군(이혼) (1608~1623) 

15대 왕

34세 즉위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왕후를 유폐한 일로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


인조(이종) (1623~1649) 

16대 왕

29세 즉위


효종(이호) (1649~1659) 

17대 왕

31세 즉위


현종(이연) (1659~1674) 

18대 왕

19세 즉위


숙종(이순) (1674~1720) 

19대 왕

14세 즉위


경종(이윤) (1720~1724) 

20대 왕

33세 즉위


영조(이금) (1724~1776) 

21대 왕

31세 즉위


정조(이산) (1776~1800) 

22대 왕

25세 즉위


순조(이천윤, 이공) (1800~1834)

23대 왕

11세 즉위


헌종(이환) (1834~1849)

24대 왕

8세 즉위

순조의 손자로 아버지인 효명세자가 요절하여 왕세손에 책봉된

이후 순조가 승하하자 8세의 나이에 즉위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 가장 어린나이에 즉위한 왕이에요.


철종(이원범, 이변) (1849~1863)

25대 왕

19세 즉위


고종(이재황, 이희) (1863~1907)

26대 왕/ 대한제국 1대 왕

12세 조선 즉위
46세 대한제국 1대 즉위


순종(이척) (1907~1910)

대한제국 2대 왕

34세 즉위

 

 


 

가장 오래 집권한 왕과 짧게 집권한 왕

 


영조 52년   VS   인종 약 8개월

 

 


 

 이름이 두가지인 왕과 그 이유


태조(이성계, 이단)

정종(이방과,이경)

선조(이균, 이연)

순조(이천윤, 이공)

철종(이원범, 이변)

고종(이재황, 이희)

 

조선시대에는 백성들이 임금의 이름을 부르거나 사용하면 안됐는데요.

신하나 백성들이 한자를 쓰거나 부르기만 해도 귀양을 보내는 등의 일이 있었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 한자나 발음하기 어려운 한자를 써서 백성들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덜어주려 했다고 하네요.
그와 같은 이유로 왕의 이름은 외자를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두가지 이름을 가진 왕들은
원래 3음절이였던 왕들이 왕으로 즉위된 이후  

위와 같은 이후로 2음절로 개명을 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조, 종 그리고 군의 차이

 

 

보통 나라를 새운 왕에게 조를 붙이고 왕조를 유지한 왕에게는 종을 붙이거나,
부자간에 왕위를 계승 받은 경우에는 '종',
왕위계승권 밖에 있는 사람이 왕이 되는 경우 '조'
를 붙였다고 하네요.
[예) 태조(조선 1대 왕), 세종(태종 셋째 아들)]

하지만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선조 이후)

업적이 많으면 조를 붙이고

덕이 많은 왕의 경우는 종을 붙였다고 합니다.

 

 

+

반정에 의하여 왕위에서 내쫒겨 왕자의 신분으로 전락한 왕

광해군, 연산군에게는 그 당시 왕자 호칭인 군이 붙여졌습니다.

 

 

 


 

조선의 장수왕 VS 단명왕

 

 

조선의 왕들은 평균 수명 47세로

국가적인 관리를 받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그리 오래살지는 못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오래산 왕이 있어요.


장수 

영조 - 83세 (가장 오래 집권한 왕이기도 해요)

태조 - 74세

고종 - 68세

광해군 - 67세

정종 - 62세


그 반대로 짧게 살았던 왕들은

 

단명

 

단종 - 17세

예종 - 20세
헌종 - 23세

연산군, 인종 - 31세

철종 - 33세

명종, 현종 - 34세 

경종 - 37세

성종 - 38세

문종 - 39세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한 왕들

유배지에서 삶을 끝낸 왕은 총 3명인데요.
단종
연산군
광해군

단종은 삼촌인 수양대군에게 왕권을 빼앗기고 영월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사약을 받고 생을 마감했다고 해요. 

 

연산군과 광해군의 경우에는 반정에 의해 폐위되고

유배당해 그 곳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