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혜정광경
성목현덕정
문순선헌숙
예인의명신
희강고원렬
선숙혜목정
공우창공
고려 왕은 총 34명이에요.
태조(왕건) (918~943)
1대 왕
42세 즉위
고려의 시조
궁예를 내쫒고 고려의 왕으로 추대된다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
혜종(왕무) (943-945)
2대 왕
32세 즉위
정종(왕요) (945-949)
3대 왕
23세 즉위
광종(왕소) (949-975)
4대 왕
25세 즉위
경종(왕주) (975-981)
5대 왕
21세 즉위
성종(왕치) (981-997)
6대 왕
22세 즉위
목종(왕송) (997-1009)
7대 왕
18세 즉위
현종(왕순) (1009-1031)
8대 왕
18세 즉위
덕종(왕흠) (1031-1034)
9대 왕
16세 즉위
정종(왕형) (1034-1046)
10대 왕
17세 즉위
문종(왕휘) (1046-1083)
11대 왕
28세 즉위
순종(왕훈, 초명은 왕휴) (1083-1083)
12대 왕
37세 즉위
가장 짧은 재위기간
선종(왕운, 초명은 왕증, 왕기) (1083-1094)
13대 왕
35세 즉위
헌종(왕욱) (1094-1095)
14대 왕
11세 즉위
숙종(왕희, 왕옹) (1095-1105)
15대 왕
42세 즉위
예종(왕우) (1105-1122)
16대 왕
27세 즉위
인종(왕해, 초명은 왕구) (1122-1146)
17대 왕
14세 즉위
의종(왕현) (1146-1170)
18대 왕
44세 즉위
명종(왕호, 초명은 왕흔) (1170-1197)
19대 왕
40세 즉위
신종(왕탁, 초명은 왕민) (1197-1204)
20대 왕
54세 즉위
희종(왕영, 초명은 왕덕) (1204-1211)
21대 왕
24세 즉위
강종(왕오, 왕숙, 왕정) (1211-1213)
22대 왕
60세 즉위
고종(왕철) (1213-1259)
23대 왕
22세 즉위
원종(왕정) (1259-1274)
24대 왕
41세 즉위
임시 국왕 영종(왕창) (1269년 6월 21일 ~ 1269년 11월)
임시 국왕
충렬왕(왕거, 초명은 왕심, 왕춘) (1274-1298, 1298-1308)
25대 왕
39세 즉위
충선왕(왕장, 이지르부카) (1298-1298, 1308-1313)
26대 왕
24세 즉위
충숙왕(왕만, 초명은 왕도) (1313-1330, 1332-1339)
27대 왕
20세 즉위
충혜왕(왕정) (1330-1332, 1339-1344)
28대 왕
16세 즉위
충목왕(왕흔, 파드마도르지) (1344-1348)
29대 왕
8세 즉위
충정왕(왕저) (1349-1351)
30대 왕
12세 즉위
공민왕(왕기, 초명은 왕전) (1351-1374)
31대 왕
24세 즉위
원나라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
(이름에서 원나라에게 충성한다는 '충'자를 뺌)
우왕(왕우) (1374-1388)
32대 왕
10세 즉위
창왕(왕창) (1388-1389)
33대 왕
9세 즉위
공양왕(왕요) (1389-1392)
34대 왕
45세 즉위
1392년 고려는 멸망한다
고려 가장 오래 집권한 왕과 짧게 집권한 왕
고종 46년 VS 순종 약 3개월
순종은 원래도 건강이 좋지 않았다고 해요.
게다가 아버지인 문종의 죽음으로 애통해하다 병세가 더욱 악화하여
가장 짧은 재위 기간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름 앞에 '충'이 붙는 이유
충렬왕부터 충정왕까지 왕의 이름 앞에 '충'이 붙었는데요.
고려의 왕이 원나라의 사위가 되면서 원나라의 간섭이 시작되었는데
이에 대해 원나라에 대한 충성의 의미로 이름 앞에 '충'자가 붙기 시작했습니다.
공민왕이 원나라의 간섭을 피하는 노력을 하면서 그 이후로는 '충'자가 붙지 않았어요.
고려의 장수왕 VS 단명왕
고려 왕들의 평균 수명 42.3세로
장수
태조 - 67세
문종 - 65세
명종 - 72세
고종 - 68세
충렬왕 - 73세
그 반대로 짧게 살았던 왕들은
단명
정종 - 27세
경종 - 27세
덕종 - 19세
정종 - 29세
헌종 - 14세
충목왕 - 12세
충정왕 - 15세
창왕 - 10세
폐위된 고려왕
의종 - 무신정변이 발생, 무신정권에 의해 폐위
명종 - 재위 기간 내내 크고 작은 반란과 농민봉기가 발생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
희종 - 최충헌에 의해 폐위
충선왕
충숙왕 -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었지만 2년 만에 복위
충혜왕 - 충숙왕이 폐위된 이후 집권했지만, 원나라에 의해 폐위, 충숙왕의 사망으로 다시 즉위
충정왕 - 숙부 공민왕의 정변으로 폐위
우왕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
창왕 -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
공양왕 - 이성계와 이방원, 정도전 등은 공양왕을 폐위
'생활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 알아보기 - 포퓰리즘이란? (0) | 2022.02.16 |
---|---|
경제 알아보기 - 인플레이션이란? (0) | 2022.01.03 |
쉬운 사자성어 - 난이도 하 (0) | 2021.09.16 |
사흘은 3일? 순우리말 날짜 세기 (0) | 2021.09.14 |
가족 호칭 - 시가, 처가, 친척 (0) | 2021.09.12 |
댓글